암호화폐

비트코인 출렁 나비효과…알트코인 반토막 비명

핵심요약

비트코인 가격 급등세가 부각된 가운데 여러 가상자산 가격이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오르내리면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재미를 위해 존재하는 가상자산, 이른바 밈코인으로 분류되는 페페코인과 시바이누 가격은 이달 들어서만 3배 넘게 뛰었다가 하루 만에 반 토막이 나기도 했습니다.

일부 가상자산은 그 가치를 설명하는 백서조차 찾기 힘들어 국내 거래소들의 투자자 보호 조치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비트코인 초강세에 힘입어 가상자산 시장 전반이 달아오르고 있지만 시세 변동성이 워낙 큰 만큼 한편에선 손실을 본 투자자들의 한숨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된 비트코인 외 가상자산, 즉 일부 알트코인은 투자 판단을 위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시세가 '롤러코스터'를 타자, 거래소 차원의 투자자 보호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 게 맞느냐는 물음표도 뒤따르고 있다.
 
6일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대표 가상자산인 비트코인 가격은 한 때 9700만 원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찍었다. 비트코인 가격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거래에 따른 대규모 자금 유입과, 공급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임박했다는 기대 심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도약을 거듭하고 있다.
 
다만 이날 최고가를 찍은 뒤 새벽 5시30분쯤엔 8802만 4천 원까지 순식간에 하락했다. 6시간도 채 안 돼 9% 넘는 낙폭을 기록한 것이다.
 
미국 거래소 코인베이스에서도 같은 날 6만 9324달러로 역대 최고가를 새로 쓴 비트코인은 새벽 한 때 5만 9244달러까지 밀리며 14.5%의 낙폭을 보였다.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의회 연설 내용에 대한 시장 긴장이 고조된 게 급락 배경으로 분석된다.
 
시장 급등세를 주도한 비트코인의 가격이 출렁이자 다른 알트코인 시세는 더 큰 변동성을 보였다.
 
비트코인. 연합뉴스비트코인. 연합뉴스
국내 한 거래소에서 이달 1일 개당 0.0041원으로 출발해 지난 5일 0.0135원까지 오르며 3배 넘게 치솟았던 페페코인은 이날 새벽 0.0069원까지 추락했다. 24시간도 채 안 되는 시간 동안 사실상 반 토막 난 것이다. 마찬가지로 지난 5일 개당 0.0698까지 오르며 이달 들어 3.5배 가량 급등했던 시바이누 가격은 같은 날 새벽 일시적으로 0.0350까지 내리며 반 토막 났다.
 
해당 알트코인들은 재미를 위해 존재하는 밈(Meme)코인으로 분류된다. 일례로 국내 거래소 가운데 한 곳의 페페코인 등록 정보를 살펴보면, "밈코인으로 유틸리티성이 없고 구체적인 사업계획과 로드맵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적시돼 있다. 어떤 가치를 갖는지 설명해 놓은 백서 역시 찾아보기 힘들다. 이들 가상자산 외에도 여러 알트코인들의 가격이 하루에도 수십 퍼센트씩 등락하는 상황이다.
 
이렇다보니 강세장 속에서도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선 "큰돈을 넣었는데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 "급하게 가격이 오른 만큼 부작용도 심하게 오는 것 같다"는 등 한숨 섞인 목소리가 적지 않다.
 
앞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거액의 투자금이 한 순간에 증발한 2022년 루나·테라 사태를 겪으며 협의체인 닥사(DAXA)를 출범시키고 자체적인 투자자 보호 조치를 강화해왔다. 이 과정에서 각종 위험성을 철저히 따져 가상자산 상장 여부를 결정한다는 거래지원 심사 가이드라인도 마련했다. 협의체 소속 거래소들은 "가상자산은 가격 변동폭에 제한이 없으므로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음을 특히 유의하라"는 취지의 위험 고지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백서에 접근하기조차 어려운 가상자산이 복수 거래소에 상장돼 고변동성을 보이는 것을 두고 자율 규제에 한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물음표도 나온다. 가상자산 시장 전문성을 갖춘 한 학계 인사는 "여러 알트코인 가운데 밈 코인 역시 아예 근거가 없이 시세가 변동하진 않는데, 그 근거가 '루머'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판단하는 건 투자자의 몫이기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특정 가상자산 상장 여부는 전적으로 거래소의 결정이기 때문에, 협의체를 통해 이를 좀 더 세밀하게 통제하려면 향후 협의체에 대한 법적 의무와 책임 부과 절차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