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위기

15%만 "결혼 반드시 해야 한다"…결혼 왜 안하나 물어보니

핵심요약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 줄어
'결혼자금 부족'도 혼인 감소 주요 이유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최근 10년 사이 혼인 건수가 4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출생아 수 감소 우려도 커지고 있다.
 
3일 통계청의 '2023년 12월 인구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지난해 혼인 건수(잠정치)는 19만 3673건으로, 10년 전인 2013년(32만 2807건) 대비 40.0% 줄었다.
 
혼인 건수는 2011년까지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2년부터 2022년(19만 1690건)까지 지속적으로 줄었다.
 
작년엔 코로나19 시기에 미뤄졌던 결혼이 진행된 영향 등으로 1983건 증가했지만, 분기별로 세분화해보면 증가세가 유지될 수 있을지 여부에 물음표가 붙는다. 혼인 건수는 2022년 3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2.8% 반등해 작년 2분기까지 증가세가 유지됐지만, 작년 3분기는 8.2%(3707건), 4분기는 5.5%(2907건) 각각 감소했다.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는 혼인 건수 감소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분석된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2년 20.3%에서 2022년 15.3%로 줄었으며, '결혼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 비율도 42.4%에서 34.8%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응답 비율은 33.6%에서 43.2%로 증가했다.
 
경제적인 이유도 혼인 건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조사됐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를 묻는 2022년 조사에서 '혼수비용·주거 마련 등 결혼 자금이 부족해서'라는 응답은 20대 32.7%, 30대 33.7%, 40대 23.8%로 가장 많았다.
 
20대와 40대에서 그 다음으로 많이 꼽은 이유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로, 각각 19.3%, 15.4%였다. 30대는 '결혼하고 싶은 상대를 만나지 못해서'(14.2%),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4.2%)가 두 번째로 많았다.
 
혼인 건수 감소와 맞물려 출생아 수도 크게 줄어들고 있다. 출생아 수는 2013년 43만 6455명에서 지난해 23만명으로 47.3% 줄었다.
 
출생아 수는 2015년 43만 8420명을 기록한 뒤 8년째 감소하고 있다. 혼인 건수 감소 시점인 2012년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뒤 출생아 수 감소 현상도 뒤따른 것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코로나19 시기 혼인 건수 감소 여파로 합계출산율이 더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이다.

0

0